국곡리 고분군(菊谷里古墳群) 기록 > 국곡리를 소개합니다

본문 바로가기

국곡리를 소개합니다

국곡리 고분군(菊谷里古墳群) 기록

profile_image
국실
2025-01-01 11:12 300 1
  • - 첨부파일 : DSC_0476-1200.jpg (821.3K) - 다운로드
  • - 별점 : 평점
  • - [ 0| 참여 0명 ]

본문

(사진은 관련 없으며, 인근 지역 부대 안 야산임)


국곡리 고분군(菊谷里古墳群)


항목 ID: GC01700538

한자: 菊谷里古墳群

영어의미역: Ancient Tombs in Gukgok-ri

분야: 역사/전통 시대,문화유산/유형 유산

유형: 유적/고분

지역: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국곡리 국실

시대: 고대/삼국 시대

집필자: 이남석


[정의] 

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국곡리 국곡마을에 있는 백제시대의 고분군. 


[위치] 

국곡리 고분군은 국곡마을의 서쪽에 동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해발 150m 미만 능선의 남동쪽으로 흘러내리듯이 형성된 사면의 선상부에 위치한다. 


현재 고분군의 전방으로는 ‘원골’이라 불리는 골짜기가 북서-남동 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되어 있다. 


[발굴조사경위 및 결과] 

국곡리 고분은 1986년 공주대학교 박물관(전 공주사범대학 향토관)에 의해 진행된 공주 지역문화재 지표 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. 


당시 지표면에 노출된 고분 1기를 확인했으며, 지역 주민의 전언으로 다수의 고분이 존재했음을 확인하였다. 


[형태] 

현재 지표상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고분은 없다. 


다만, 당시 조사 기록과 주민의 전언으로 미루어 볼 때 고분은 돌방무덤으로 확인된다. 

장축은 등고선과 직교하는 동서 방향이며, 규모는 길이 190㎝, 너비 130㎝이다. 

묘실 바닥에는 판석과 잔돌이 깔려 있으며, 주변에는 덮개돌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판석형 괴석이 놓여 있다. 

이미 도굴 등의 훼손으로 구체적인 형태를 알 수 없다. 


[출토유물] 

유물은 주변 지역에서 백제시대 토기편이 일부 수습되나, 구체적인 기형을 알 수 있는 유물은 없다. 


[현황] 

지표 조사를 통해 유구의 존재를 확인했을 뿐 정식으로 학술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한 실정이다. 

도굴로 인해 1차적인 훼손이 이루어진 상태다. 

최근에는 산림 지역 내 지표면의 유실과 토사 매몰로 인해 지표면에서 구체적인 고분의 정황을 파악하기 어렵다. 


[의의와 평가] 

국곡리 고분군은 공주 지역 외곽의 고분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, 고분 문화를 기초로 지역적 특성을 도출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.


[출처] 한국학중앙연구원 - 향토문화전자대전

https://gongju.grandculture.net/gongju/toc/GC01700538


[참고-계룡산지역의 유적과 유물]

https://kjha.kongju.ac.kr/kjarccollections/collectionDetail/show/120527

 

댓글목록1

국실님의 댓글

profile_image
국실
2025-03-05 16:17
https://www.guksil.com/bbs/board.php?bo_table=2001&wr_id=8
공주대학교 박물관으로부터 받은 자료
전체 39 건 - 1 페이지
게시판 전체검색